능히 할수있다!

[CSS]선택자(Selector)의 종류-1(전체, 태그, 클래스, ID) 본문

STUDY/HTML, CSS

[CSS]선택자(Selector)의 종류-1(전체, 태그, 클래스, ID)

능히버섯와나 2023. 6. 5.

생활코딩 강좌를 듣던 중 선택자(Selector)의 종류와 다양한 활용법이 궁금해져

찾아보고 알게 된 내용들을 나누어 정리해보려고 한다

 

 

∙전체 선택자(Universal Selector)

   - HTML 문서 내의 모든 요소를 선택함. 브라우저 과부하 위험이 있어 사용을 권장하지 않음

*{
  color: red;
  padding: 20px;
  }

 

∙태그 선택자(Type Selector)

   - HTML 문서 내의 태그를 선택자로 지정하여, 지정된 이름을 가진 모든 태그를 선택함

p{
  font-size: 20px;
  text-align: center;
 }
/* 모든 'p'태그를 선택 함 */

 

∙클래스 선택자(Class Selector)

  - 'class'속성 값을 가진 요소들을 선택함. 최대한 html태그 내에서 선택자를 사용하고,

     클래스 속성 부여를 남발하지 않는 것이 좋음

.cla{
     margin-top: 5px;
     margin-right: 10px;
     }
/* 'class'속성값이 'cla'인 모든 요소를 선택 함 */

 

∙ID 선택자(ID Selector)

  - 'id'속성값을 가진 요소를 선택함. ID 선택자는 동일한 'id'속성값을 한 번만 사용할 수 있고,

     클래스 선택자는 동일한 'class'속성값을 다중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차이점이 있음

#grid{
	  display: grid;
	  padding-left: 20px;
	 }
/* 'id'속성값이 'grid'인 요소를 선택 함 */

 

 

위 선택자들을 동시에 사용했을 때 우선적용되는 순서는

ID 선택자 > 클래스 선택자 > 태그 선택자 > 전체 선택자 순으로

타겟의 범위가 상세할수록 우선순위가 높음

(전체 선택자는 사용할 일이 잘 없다고 하지만 궁금해서 포함해 봄)

<!DOCTYPE html>
<html>
  <head>
    <meta charset="utf-8">
    <title>Selector Test</title>
    <style>
      *{
         color: pink;
         font-size: 30px;
      }
      #test1{
         color: green;
      }
      .test2{
         color: blue;
      }
      h1{
         color: red;
      }
    </style>
  </head>
  <body>
    <h1 id="test1" class="test2">Selector(ID 선택자 우선)</h1>
    <h1 class="test2">Selector(클래스 선택자 우선)</h1>
    <h1>Selector(태그 선택자)</h1>
    <h2>Selector(전체 선택자)</h2>
  </body>
</html>

위와 같이 코드를 작성하여 테스트를 해보면,

아래와 같은 결과가 나타난다

 

 

 
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