능히 할수있다!

[TIL] 생활코딩 JS 강의내용 정리 - 2 본문

STUDY/TIL

[TIL] 생활코딩 JS 강의내용 정리 - 2

능히버섯와나 2023. 6. 7.
  • 생활코딩 WEB2 - JavaScript 강의 수강 중
    - '26.함수:매개변수와 인자' 예제 코드에 대해서 일부 정리하고 넘어가려 한다.

       특히 'document.write(left+right+'<br>')' 이 부분,  우선 코드의 흐름은
       'sum'이라는 함수(function)를 지정하여 'left', 'right'라는 매개변수(parameter)에 인자(argument)를 넣으면

       'document.write'를 이용해 그 인자를 더한 값을 출력한 후 <br> 태그로 줄 바꿈 해주는 것이다.

       
       그리고 어제 TIL내용과 같이 'document.write()'괄호내 따옴표와 '+'의 활용이 조금 헷갈렸는데
       html태그인 <br>은 <script>내에서 아무런 기능을 못하기 때문에 따옴표를 감싸주어 문자열로 인식시켜주는 것이고,

       'left', 'right'는 매개변수 이기 때문에 따옴표를 붙이지 않는 것이다.

<!doctype html>
<html>
  <head>
    <meta charset="utf-8">
    <title></title>
  </head>
  <body>
      <script>
      document.write('left+right+<br>')
      document.write('left'+'right'+'<br>')
      </script>
  </body>
</html>

       매개변수에 따옴표를 붙이면 어떻게 되는지 한번 테스트해 보았다.

       위와 같이 따옴표로 전체를 감싸면 'left+right+'문자 그대로 출력 후 줄 바꿈 되었고,

       각각 따옴표로 감싸면 '+'이 'left'라는 문자와 'right'라는 문자를 이어주는 역할을 하게되어
       'leftright'라는 문자가 출력되고 줄바꿈이 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.

 

 

 

    - '27.함수(리턴)' 예제 코드 중 'sumColorRed(2,3);'부분 값이 위와 같은 이유로 '5'가 아닌 '23'로 결과가 표시되고 있었는데,

       설명이 따로 없어 생활코딩 홈페이지에 가보니 정정내용이 있었다.
       '+(left+right)+' 이렇게 매개변수를 괄호로 감싸주면 정상적으로 '5'가 출력이 된다.

      

 

Comments